functionhandleSearch(event) {
searchMode= true;
event.preventDefault(); // 기본 동작 취소const elements = document.getElementsByClassName('movie-card');
while (elements.length > 0) {
elements[0].parentNode.removeChild(elements[0]);
}
handleSearch()에서 searchmode가 true로 된다. 기존에 있던 movie-card요소들을 다 제거 해주고
let searchInput = document.getElementById("search-input");
keyword = searchInput.value;
받아온 인풋값을 keyword에 저장한다.
functionshowList(){
fetch('https://api.themoviedb.org/3/movie/top_rated?language=en-US&page=1', options)
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.then(response => {
const movies = response.results;
if(searchMode=== true){
let movie =movies.filter(movie => {
return movie.title.includes(keyword);
})
console.log(movie);
movie.forEach(movie => {
makeCard(movie);
});
}
var b= 3;
// 여기서 var b;가 호이스팅 되고// 그래서 b=3; 은 아래만 따로 나중에 읽힌다.functionb() {
}
// 함수 b()전체가 호이스팅 된다.var sum= function(x,y){}
//이렇게 변수로 쓰여야 코드 혼란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.// 그러므로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표현해야 혼란을 막을 수 있다.